안녕하세요
준비된사람들
레디피플 입니다.

준비된사람들
오늘은 안과질환 중 하나인
황반변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Q. 황반변성이란 무엇인가요?

준비된사람들
황반은 망막이라는 안구내 신경층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로
시력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약 1.5mm의 반지름을 가지는
망막의 중심부위이며,
이 부위에는 빛을 느낄 수 있는
광수용체가 밀집되어 있습니다.
황반변성은 황반이 변성되는 질환으로,
'빛을 감지하는 고도의 기능을 가지는
황반 부위가 퇴화하여
빛을 보는 기능을 소실했다'는 말입니다.
Q. 황반변성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준비된사람들
일반적으로 황반변성이라는 용어는
나이 관련 황반변성이라고 불리며
즉, 망막의 노화에 의해서 발생하는 변성을
말합니다.
그러나 넒은 의미로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황반에 변성이 오는
질환들을 통틀어서 지칭하기도 합니다.
황반변성의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입니다.
노화에 의한 황반변성을
나이와 관련된 황반변성 또는
노인성 황반변성이라 부릅니다.
즉, 연령관련 황반변성은
노화와 관련된 여러 요인에 의해서
황반부위가 소실되고 퇴화되어
기능을 잃어버리는 질환입니다.
가장 많은 원인은 '고령'으로
나이가 증가할수록
발생할 확률이 증가합니다.
그 밖의 가족력, 흡연 습관,
그리고 빛에 의한 손상 등이
황반부에 변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황반변성의 종류 또한 여러가지 있으므로
황반변성의 종류에 대해 알아봅시다.
Q. 황반변성의 종류에 대해 알려주세요!

준비된사람들
황반변성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예시 두 가지만 살펴볼게요.
건성 황반변성은 시기에 따라,
초기 및 후기 황반변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기 황반변성은,
망막 아래 노란색의 노폐물이 침착되어
생기는 드루젠이 있는 상태이며,
크기 및 숫자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시력 저하를 가져 옵니다.
후기 황반변성에서는,
드루젠과 더불어 시세포가 점차로 파괴됩니다.
이에 따라 중심에 어둡고 흐리게 보이는 부분이 점차 증가하게 됩니다.
습성 황반변성은 어느정도 진행된
후기 황반변성에 해당합니다.
망막아래에서 생긴 비정상적인 혈관이
황반쪽으로 자라나게 되는데,
이러한 (맥락막)신생혈관은 혈관벽이
매우 약하여 흔히 터져서 출혈을 일으키거나
혈장, 지질 성분을 혈관 밖으로
누출됩니다.
이렇게 누출된 피, 혈장 성분은
황반을 융기 시키고, 황반 부종 및 망막박리를
동반하게 됩니다.
Q. 황반변성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준비된사람들
황반변성의 초기 증상은
우선 변형시를 들 수 있습니다.
변형시(변시증)는
사물이 구부러져 보이는 증상을 말하며,
이는 주로 초기 맥락막 신생혈관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맥락막 신생혈관은
황반 부위의 망막 하에 신생혈관이
발생한 경우로,
망막 밑 혈관의 증식과 이로 인한 출혈은
망막을 구부러지게 만듭니다.
다음으로 중심암점을 들 수 있습니다.
중심암점은
시력의 중앙부위에 안 보이는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다른 부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거나,
전혀 안 보이는 작은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그 밖에도 사물의 형태를
구별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대비감(색 및 명암을 구별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등의 증상들이 동반됩니다.
Q. 황반변성은 어떻게 진단할 수 있나요?

준비된사람들
황반변성의 진단과 경과 관찰을 위한
여러 검사같은 경우
산동(동공이 확대된 상태)이 된 상태에서
이루어집니다.
정기적인 안과검진을 통한
빛간섭단층촬영술을 이용해서도
황반변성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침습적이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망막의 단층을 정확하게 촬영할수 있어
황반변성에서
드루젠이나 맥락막신생혈관과 같은
변화를 직접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어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형광안저혈관조영술은
정맥 내로 형광염색물질을 주입하고
형광물질이 눈에 들어오는 시간에 맞춰
안저를 촬영하는 검사로,
망막의 혈관상태를
정밀하게 볼 수 있습니다.

황반변성 자가진단
Q. 황반변성은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준비된사람들
초기 증상에는 생활습관교정,
영양보충제 복용이 치료법으로 쓰이며
증상이 악하된 경우
항체주사, 레이저 치료,수술적 치료 등이
치료법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 증상으로 예시를 살펴보면,
건성 황반변성 같은 경우
생활습관교정을 치료법으로
위험인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고혈압이 있으면
고혈압 약을 먹어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습성 황반변성 같은 경우
악성 혈관이 자라기 떄문에
꼭 항체주사를 이용하여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Q. 황반변성 예방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준비된사람들
운동이나 건강한 음식 섭취하여
생체 나이 줄이기,
고혈압이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고혈압 관리하기,
기름기 있는 음식과
소금기가 많은 음식 섭취 줄이기
탄수화물 조절하여 섭취하고
적당한 운동 생활화 하기
만약에 흡연자라면
당장 담배 끊도록 해야합니다.
모두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예방법이네요.
철저한 관리로 예방해나가면 어떨까요?
지금까지
준비된사람들
레디피플
이었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아산병원 질환백과
헬스조선명의
아이백안과

대표번호 0507 1308 6724
'건강 Magaz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조용히 덮쳐오는 녹내장의 증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5.11.03 |
|---|---|
| 당뇨와 발 부종 간에 관련이 있다고요? (0) | 2025.09.10 |
| 혈관건강을 방해하는 고지혈증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5.09.10 |
| 섬망, 치매와 다른가요? (14) | 2025.08.28 |
| 갑자기 가슴이 답답해진다면, 협심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2)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