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된사람들의 이야기

따뜻함을 만듭니다

자세히보기

#준비된사람들 #준비된여정 #돌봄 #시니어 #실버산업 #고령친화산업 #요양보호사 #고찰 #창업 #청년창업사관학교 #생애최초 #청년창업 #서구청 #광주광역시 #업무 #표준화 2

[ep.4 준비된여정] 와.. 너무 좋은데요?

안녕하세요. 준비된사람들입니다.​ ep.3을 통해서는 8가지의 업무 중 어떤 서비스로 표준화를 시작해볼지 정한다고 했는데요. 그래서 저희는 우선 신체활동지원서비스, 그 중에서도 신체기능의 유지증진을 선택하기로 했습니다.요양보호사 표준교재에 따르면, 신체기능의 유지·증진은 관절구축 예방, 일어나 앉기 연습 도움, 보행, 서있기 연습, 보조기구 사용 운동 보조, 보장구 장치 도움(지켜보기 포함)이 해당되는데요.​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신체기능의 유지증진 활동을 지원했을 때,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봅니다. 표준화의 목적을 우리는 사람에 따라 서비스 품질의 편차가 커지지 않는 것, 케어의 연속성을 떨어뜨리지 않는 것으로 잡았는데요. 그러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지가 표준화를 위한 ..

[ep.3 준비된여정] '준비된사람들'은 어떻게 업무 표준화를 한다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준비된사람들입니다. ep.2를 통해서는 다양한 돌봄의 영역 중 선택과 집중을 해보겠다고 했는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범위를 좀 더 좁혔습니다. 바로 '업무 표준화'입니다. 그 중에서도 요양보호사가 하는 업무의 표준화입니다.​왜 업무 표준화에 초점을 맞췄을까요? 그리고 업무 표준화와 삶의 질 향상 간의 관계성은 어떨까요?​요양보호사가 하는 돌봄의 경우, 사람이 하는 일 입니다. 따라서 사람에 따라 서비스 품질 차이가 있다는 것이죠. 즉, 서비스 품질의 편차가 커집니다. 혹은 만약 두 사람 이상이 한 어르신을 케어 한다고 했을 때는 케어의 연속성이 떨어지기도 하고요. 이 뿐만 아니라 활동 정보 누락이나 중복 활동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하지만, 업무가 표준화 된다면 돌봄 서비스 품질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