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Magazine

손목과 팔꿈치에 통증이 있으신가요? 팔꿈치 터널증후군에 대해 알아봅시다.

infobox1542 2025. 11. 26. 11:04

안녕하세요

준비된사람들

입니다.

 

준비된사람들

 

 

오늘은

주관 증후군, 척골 신경 포착 증후군,

팔꿉굴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팔꿈치 터널 증후군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Q. 팔꿈치 터널증후군이란?

준비된사람들

 

 

팔꿈치 안쪽의 척골 신경이 눌려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팔꿈치 터널

척골 신경이 팔꿈치 주변을 지나

손목과 손으로 가는 좁은 통로이기에

'터널'이라 불립니다.

 

여기서 척골 신경이란?

팔에는 중요한 신경이 3개 있는데

척골 신경은 그중 하나입니다.

 

섬세한 작업을 할 때 필요한

손의 작은 근육을 담당하는

중요한 신경으로,

4번째 손가락과

5번째 손가락의 감각을 관장합니다.

 

 

Q. 팔꿈치 터널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준비된사람들

 

 

일상생활에서 그 이유를 찾아보면

턱을 괴는 습관이나

평소 수면 시 팔베개하고 자는 행동,

컴퓨터 작업 시

팔꿈치를 90도 이상 구부리고

일을 하는 경우도 있고,

 

책상에 팔꿈치를 닿게 되면

신경이 피부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신경이 바로 눌릴 수 있습니다.

 

또 팔꿈치가

딱딱한 바닥에 눌리거나

 

오랜 기간동안

90도 이상 구부리고 있으면

신경에 압박이 가해지게 됩니다.

 

신경이 늘어나는 손상

장기간 받게 되면

신경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Q. 팔꿈치 터널증후군 증상은

무엇인가요?

준비된사람들

 

 

증상 초에는

감각 저하, 통증,

손목 아래로 저린 느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이 많이 진행된 경우

젓가락질 할 때

음식이 잘 떨어지거나,

단추를 채우거나

섬세한 동작 시

예전처럼 되지 않고

손가락이 잘 모아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마비와 근위축, 갈퀴손 변형

올 수 있습니다.

손 대부분의 소근육이

척골 신경의 통제를 받으므로,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꼬집을 수 있는 능력,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능력 등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증상을 보니 손목터널증후군과

비슷하다고 느껴지는데요.

팔꿈치 터널증후군과는

무엇이 다른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Q. 손목 터널증후군과 다른점은

무엇일까요?

준비된사람들

 

 

손목 터널증후군

말초신경 중 하나인 정중 신경

손바닥에서 눌리는 질환으로,

첫 번째 손가락에서 네 번째 손가락

중간 부분까지의 감각이 떨어집니다.

팔꿈치 터널증후군의 경우

네 번째 손가락 절반과

다섯 번째 손가락

감각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두 질병의 차이

증상이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담당하고 있는 감각의 위치가 달라

통증이나 감각 저하가 보이는

부위가 다르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Q. 팔꿈치 터널증후군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

준비된사람들

 

 

티넬싸인, 주관절굴곡검사,

프로멘트 검사, 와텐버그 사인 등

신체 검사를 통하여

팔꿈치 터널 증후군을 진단하고,

경우에 따라

신경 손상의 정확한 부위를

찾아내기 위해

신경전도검사MRI 또는

초음파와 같은

고도의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팔꿈치 터널증후군의

자가 검진법으로는

신체 검사 시 언급하였던

티넬싸인, 주관절굴곡검사,

프로멘트 검사, 와텐버그 사인 등을

통해서 자가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정확한 진단은

전문의의 진찰과 상담을 통해

진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Q. 팔꿈치 터널증후군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준비된사람들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1. 비수술적 치료

약물치료

소염 진통제 복용 또는 저림 증상

완화시킬 수 있는 약 복용

활동 제한

평소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활동에 제한을 두고

증상이 호전될 수 있도록 함

팔꿈치 보호대 착용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팔꿈치의 과도한 구부림을 피하기 위해

보호대를 착용하여

팔꿈치에 대한 압박을 피합니다.

 

2. 수술적 치료

척골신경 감압술

신경 압박의 원인이 되는

구조물을 제거하고

팔꿈치 뒤쪽에 있는

척골 신경을 앞쪽으로 옮겨

신경 압박을 완화시키는 수술

척골신경 전방전위술

팔꿈치 뒤쪽에 있는 척골신경을

앞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신경의 주행 경로를 짧게 바꿔

압박을 줄여주는 수술

 

 

평소 팔꿈치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습관으로

질병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스트레칭을 자주 하며

신경이 눌리지 않도록 의식하여

예방해 보는 건 어떨까요?

지금까지

준비된사람들

이었습니다.

출처:

MSD 매뉴얼 일반인용

킴스 학술센터

서울대병원TV

유앤제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