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Magazine

귀가 먹먹하신가요? 난청에 대해 알아봅시다.

gapsw2197 2025. 11. 6. 08:02

 

안녕하세요

준비된사람들

입니다.

준비된사람들

 

오늘은 귀가 먹먹한 증세로부터 시작되는

난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 난청이란 무엇인가요?

준비된사람들

 

크게

외이, 중이, 내이구분할 수 있습니다.

외이와 중이

소리를 모아서 증폭함으로써

소리가 내이까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내이는 전달받은 소리를

감지 및 분석하여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난청은 이러한 귀 구조의 일부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여

작은 소리를 듣기 어렵거나,

들리는 소리를 구분할 수 없는 상태

의미합니다.

 

 

Q. 난청의 증상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준비된사람들

 

소리가 작게 들리거나

멀게 느껴지게 되고,

소리의 명료도가 떨어져

말소리가 왜곡되어 들리거나

뭉개져 들릴 수 있습니다.

 

또 주변이 시끄러운 곳이나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 더 알아듣기 힘들어지고

소리가 들리는 방향을

알기 힘들어지기도 합니다.

 

또한 한쪽 귀가 반대쪽 귀에 비해서

더 안 들리기도 하고,

양쪽 귀가 비슷한 정도로

들리지 않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을 가지고 난청으로

나눌 수 있는지 궁금하실텐데요

바로 알려드겠습니다.

Q. 난청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있나요?

준비된사람들

 

난청은 들을 수 있는 소리의 크기에 따라

정상청력, 경도 난청, 중도 난청,

고도 난청, 심도 난청으로 나누어 집니다.

경도 난청

: 여러 사람과 대화 시 못 들음

중등도 난청

: 먼 거리의 말소리를 못 들음

중등고도 난청

: 일상적인 대화에서 말소리를 못 들음

고도 난청

: 큰 소리의 말소리를 못 들음

심도 난청

: 대다수의 소리를 못 들음

경도 난청 부터 서서히 대화 불가능해지며

중도 난청까지 진행되면

진공 청소기나

오토바이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됩니다.

Q. 난청의 종류와 특징은 무엇인가요?

준비된사람들

 

감각 신경성 난청

: 달팽이관까지의 소리의 전달이

잘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달팽이관의 소리 감지하는 기능

이상이 생기거나

소리에 의한 자극을 뇌로 전달하는

청신경 또는 중추신경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난청을 말합니다.

 

감각신경성 난청 환자는

큰 말소리를 들어도 그 음을 구별해서

듣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노인성 난청돌발성 난청, 소음성 난청

이에 해당됩니다.

전음성 난청

: 소리를 귀에서 달팽이관에 전달하는 과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는 난청을 말합니다.

 

전음성 난청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귀에 물이 찬 것 같은 삼출성 중이염

귀에서 고름이 계속 나오는 만성 중이염

있습니다.

 

전음성 난청 환자는 소리가 커지면 커질수록

알아듣는 정도도 좋아질 수 있습니다.

혼합성 난청

: 전음성 난청감각 신경성 난청

섞여있는 경우로,

소리전달 경로의 복합적인 문제

그 원인이 됩니다.

유전적 요인, 과도한 소음 노출,

특정 의약품 및 질병, 감염, 종양,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Q. 난청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준비된사람들

 

난청은 원인이 다양한 만큼

치료법도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난청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하에

원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전음성 난청의 경우

외부의 소리가 달팽이관까지

전달되지 못하거나

전달의 효율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므로

항생제와 같은 약물이나

수술적 치료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일시적인 문제가 아니거나

수술을 통해 청력을 향상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보청기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각신경성 난청의 경우

원인에 따라 약물치료를 통해

난청이 일부분 또는

완전히 호전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갑자기 급격히 청력이 감소하는

돌발성 난청의 경우

증상 발생 한달 이내

집중적인 약물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노인성 난청

청력의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거나

청력 자체의 향상의 여지가 없는 경우에는

보청기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심한 선천성 난청의 경우나

성인 환자의 고도 감각신경성 난청에서는

인공와우 이식수술치료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난청을 예방법 중 하나

소음 환경에서 멀어지는 것

이라고 합니다.

 

가급적 이어폰이나

귀에 무리를 줄 수 있는 환경에서 벗어나

휴식시간도 함께 가져보는 것 어떨까요?

지금까지

준비된사람들

이었습니다.


출처:

건강칼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EBS명의

비온뒤 의학채널